데브옵스/클라우드 서비스

[AWS] 도메인 구매 및 등록

SparkIT 2024. 12. 30. 22:27

AWS를 이용해 배포하기 위해 가장 처음에 해야할 일은 도메인 구매일 것입니다. IP 주소를 직접 이용해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일은 드물기 때문입니다. www.naver.com 혹은 www.google.com 같은 '도메인'을 구매하기 위해서 여러 사이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비아, 카페24 등이 한국에서 흔히 사용하는 사이트라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AWS에서도 도메인 구매와 등록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 서비스를 활용해 도메인을 구매 및 등록하는 방법을 공유해보려 합니다.

 


1. 도메인 구매 및 등록

위와 같이 AWS 서비스 중에 Route 53라는 서비스가 존재합니다. 해당 서비스를 활용하면 도메인을 구매하고 등록할 수 있습니다. 해당 서비스를 클릭해주세요.

 

도메인 검색

가운드 도메인 등록이라고 작성된 부분 검색란을 이용해 내가 사용하고 싶은 도메인을 검색해줍니다. (이때 이미 도메인을 사용중인 곳이 있다면 해당 도메인은 사용이 불가합니다)

 

제가 사용하고 싶던 도메인명은 'todayz.com' 인데요. 해당 도메인은 사용할 수 없다고해서 결국 'todayz.biz'를 선택했습니다.

 

도메인 구매

결제 과정은 AWS 안내에 따라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도메인 등록

결제 이후 'todayz.biz' 도메인에 대한 등록 요청이 진행되고 있다는 알림 문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도메인에 보이는 forcommuter.com은 이전에 제가 따로 등록했던 도메인입니다. 무시하셔도 됩니다)

 

※ 도메인 구매 및 등록에 실패했다면?

저는 위 도메인 구매 및 등록 과정에서 계속해서 실패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구매에 사용했던 메일로도 도메인 등록에 실패했다는 내용의 메일이 수신되어 있었습니다. 예전에는 한번에 성공했었는데 왜 이런가 검색을 해보니 확실한 해결책은 없는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다른 도메인명인 'todayz.org'를 선택해 도메인 구매 및 등록을 다시 시도했습니다. 그랬더니 이번엔 무한 대기 상태에 봉착했습니다.

하지만 30분 후 확인했을 때 성공적으로 도메인이 등록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AWS에서 도메인을 구매하고 등록하는 과정이 실패했다면, 이는 사용자가 구매 과정에서 무엇인가 실수를 했다기 보다는 AWS 자체적으로 도메인 구매 및 등록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여집니다. 만약 도메인명이 중요하지 않다면 다른 도메인을 이용해보세요. (만약 도메인명을 수정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몇 분 혹은 몇 시간 후에 다시 시도해보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2. 호스팅 영역 설정

호스팅 영역이란 간단하게 도메인과 IP를 연결하는 설정을 위한 영역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도메인, EC2를 연결 ) 내가 위에서 구매하고 등록했던 도메인 'todayz.org'에 누군가 접속을 시도한다면 이를 어떤 IP 주소로 연결해줄 것인가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도메인을 구매하고 등록했다면 위와 같은 호스팅 영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호스팅 영역을 클릭해 세부사항을 확인해봅시다.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 호스팅 영역 유형이란?
    유형에 '퍼블릭 호스팅 영역'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인터넷에 공개된 도메인을 관리하는 영역이라는 뜻입니다.
  • 레코드 유형이란?
    레코드 유형으로 'NS' 와 'SOA' 2 가지가 보입니다. 먼저 NS는 네임서버를 의미합니다. 해당 도메인 명을 특정 IP로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네임서버들을 위한 레코드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SOA는 네임서버와 관련된 권한 정보를 의미합니다. SOA 레코드는 네임 서버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위한 레코드입니다.

 

A 레코드 추가

여기서 내가 이미 AWS EC2 인스턴스를 하나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경우 해당 EC2와 내가 방금 구매한 도메인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호스팅 영역에 A 레코드를 추가해야합니다. 먼저 EC2 인스턴스 상세 정보에서 퍼블릭 IPv4 주소를 확인합니다. 

  • 레코드 이름
    서브 도메인은 따로 설정하지 않을 것이니 비워둡니다
  • 레코드 유형
    A 선택합니다

  • EC2 퍼블릭 IPv4 주소 입력합니다

위와 같이 레코드 상세 정보를 기입한 뒤 레코드 생성을 클릭합니다.

 

저는 테스트를 위해 EC2에 간단하게 nginx를 실행시켜놓았습니다. 이때 todayz.org를 웹 브라우저에서 입력하니 성공적으로 nginx 기본 화면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