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란?
RDS는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다. AWS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싶을 때 단순히 EC2 인스턴스 내부에 데이터베이스를 실행시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백업, 스케일링, 모니터링 등의 설정을 개발자가 직접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합니다. 이런 부분을 자동화시켜 불편함을 해소시킨 서비스가 RDS 입니다.
1. RDS 데이터베이스 생성
RDS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생성 옵션 설정하기
생성 버튼 클릭 이후 설정값은 자신이 원하는대로 설정합니다. 이때 문제될 수 있는 몇 가지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퍼블릭 액세스
: 퍼블릭 액세스는 RDS에 외부 접속을 허용 여부를 설정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저는 로컬 환경에서 직접 RDS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고 싶어 퍼블릭 액세스 옵션을 '예'로 설정했습니다.
- 연결 > 보안 그룹
: 보안 그룹에서 내 로컬 환경에서의 접속(인바운드)을 허용해야 로컬 환경에서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저는 무심코 default 설정을 적용했다 로컬 환경 접속에 계속해서 실패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 월별 추정 요금
: RDS같은 경우 요금이 꽤 나갑니다. 가장 마지막에 정리된 월별 추정 요금을 확인해서 과금이 되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2. RDS 데이터베이스 접속
로컬 환경에서 RDS 데이터베이스 접속하기
저는 dbeaver 프로그램을 활용해 접속을 시도했습니다.
위 Server Host, Username, Password 값은 RDS 데이터베이스 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위 화면에서 '엔드포인트'값이 'Server Host' 값입니다.
그리고 'Username'과 'Password'의 경우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때 설정한 값을 그대로 넣습니다. 만약 AWS Secret Manager를 활용했다면 해당 시크릿 탭에 접속해 Username과 Password를 확인해 해당 값을 이용합니다.
접속 성공
접속 성공시 다음과 같이 RDS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브옵스 > 클라우드 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uto Scaling 사용해 트래픽에 맞춰 스케일링하기 (EC2, ALB) (0) | 2025.04.19 |
---|---|
[AWS] 프리티어 사용 시 필수 설정 - 스왑 메모리 할당 (0) | 2025.02.08 |
[AWS] 도메인 구매 및 등록 (0)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