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nner image

데브옵스/클라우드 서비스 4

[AWS] Auto Scaling 사용해 트래픽에 맞춰 스케일링하기 (EC2, ALB)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 중 하나는 고가용성일 것입니다. 예전에 물리적 서버를 직접 운영하던 시절에는 트래픽이 증가하면 서버실에 개발 인원이 직접 가서 물리적 서버를 한 대 더 켜야했습니다. 이런 작업은 굉장한 불편함을 발생시켰고, 현재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등장으로 모두 자동화되가고 있습니다. 즉,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알아서 서버가 스케일 아웃되게 할 수 있는 것이죠. 오늘은 AWS에서 제공하는 스케이일 서비스인 Auto Scaling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히 공유하겠습니다.Auto Scaling 설정1. 그룹 크기최소 용량과 최대 용량만 제대로 작성하면 될 듯 싶습니다. 원하는 용량 값은 스케일 아웃, 스케일 인이 실행되면 현재 인스턴스 개수로 수정되고 있었습니다. 2. 동적 크기 조정 ..

[AWS] RDS 사용법 -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접속하기

AWS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란?RDS는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다. AWS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싶을 때 단순히 EC2 인스턴스 내부에 데이터베이스를 실행시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백업, 스케일링, 모니터링 등의 설정을 개발자가 직접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합니다. 이런 부분을 자동화시켜 불편함을 해소시킨 서비스가 RDS 입니다. 1. RDS 데이터베이스 생성RDS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생성 옵션 설정하기생성 버튼 클릭 이후 설정값은 자신이 원하는대로 설정합니다. 이때 문제될 수 있는 몇 가지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퍼블릭 액세스: 퍼블릭 액세스는 RDS에 외부 접속을 허용 여부를 설정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AWS] 프리티어 사용 시 필수 설정 - 스왑 메모리 할당

AWS 숙달을 위해 프리티어로 비용을 거의 지불하지 않은 채로 EC2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꽤 많으실 겁니다. 이때 가장 문제인 것은 EC2 스펙인데요. 아무래도 프리티어는 무료 서비스다 보니 굉장히 스펙이 낮은 EC2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프리티어로 제공되는 EC2 인스턴스 유형은 t2.micro로 메모리가 1GiB만 제공됩니다. 이로 인해 웬만한 애플리케이션은 메모리 부족으로 인해 해당 인스턴스에서 실행 시 문제가 됩니다.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갑자기 EC2가 멈추는 현상을 경험하신 분들이 꽤 있을 겁니다. 이때는 조금 더 비싸고 좋은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지만, 프리티어를 유지한 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스왑 메모리 활용일 것입니다. 스왑 메모리(Swap memo..

[AWS] 도메인 구매 및 등록

AWS를 이용해 배포하기 위해 가장 처음에 해야할 일은 도메인 구매일 것입니다. IP 주소를 직접 이용해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일은 드물기 때문입니다. www.naver.com 혹은 www.google.com 같은 '도메인'을 구매하기 위해서 여러 사이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비아, 카페24 등이 한국에서 흔히 사용하는 사이트라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AWS에서도 도메인 구매와 등록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 서비스를 활용해 도메인을 구매 및 등록하는 방법을 공유해보려 합니다. 1. 도메인 구매 및 등록위와 같이 AWS 서비스 중에 Route 53라는 서비스가 존재합니다. 해당 서비스를 활용하면 도메인을 구매하고 등록할 수 있습니다. 해당 서비스를 클릭해주세요. 도메인 검색가운드 도..